본문 바로가기

영어교육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를 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

1. 한국 영어 학습지들의 문제: 발음 오류

영어 발음에서 한국어 발음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는 영어에 비해 발음 규칙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영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발음들을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흔히 발생하는 발음 오류들이다.

  • "r"과 "l" 발음 차이: 한국어에는 "r"과 "l"의 구별이 없다. 그래서 "right"와 "light"를 발음할 때 혼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ight"를 "라이트"처럼 발음하는 실수가 자주 발생한다.
    • 교정법: 영어 발음을 정확히 배우기 위해, Rachel's English 채널에서 "r"과 "l" 발음 구별 연습을 할 수 있다. 이 채널에서는 미국식 발음 교정을 돕는 다양한 영상을 제공한다.
  • 모음 발음: 한국어에서는 영어의 다양한 모음 소리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sheet"와 "shit"을 구별하지 못하고 "시트"처럼 발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미가 전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교정법: English with Lucy 채널에서는 다양한 영어 모음 발음 연습과 정확한 발음 구분을 돕는 영상을 제공한다. 특히, 비슷한 발음의 단어를 구별하는 훈련에 유용하다.
  • 'f'와 'p' 발음 혼동: "f"와 "p"를 구분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다. 예를 들어, "fish"를 "피시"로 발음하거나, "phone"을 "포운"처럼 발음할 수 있다. 이때 "f" 발음이 정확히 구사되지 않으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생긴다.
    • 교정법: BBC Learning English 채널에서 발음의 기초부터 고급까지 다루는 발음 교정 영상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발음 실수를 구별하고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국학생들 영어수업

2. 문법적 오류: 주어와 동사의 일치

주어와 동사의 일치 문제는 영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어에서는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엄격하게 따지지 않지만, 영어에서는 이를 정확히 맞춰야 한다.

  • 단수/복수 동사 사용 오류: "She go to school"과 같은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이다. 주어가 'She'일 때 동사는 'go'가 아닌 'goes'로 바뀌어야 한다. 올바른 문장은 "She goes to school"이다.
  • 집합명사 사용 시 오류: "The team are playing well"과 같은 문장은 "team"이 집합명사로, 단수 취급을 해야 한다. 올바른 문장은 "The team is playing well"이 되어야 한다.
  • 주어가 복수일 때 동사 오류: "The students is happy"와 같은 문장에서는 'students'가 복수형이므로, 동사도 'are'로 맞춰야 한다. 올바른 문장은 "The students are happy"이다.

3. 어순 오류: 직역된 한국어 문장의 문제

한국어 문장을 직역하여 영어로 번역하면 어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한국어와 영어가 어순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 주어-동사-목적어 순서 오류: "나는 학교에 가고 있다"를 영어로 번역할 때 "I to school go"처럼 번역하는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장은 영어로 "I am going to school"이 되어야 한다.
  • 부사 위치 오류: "나는 항상 아침을 먹는다"라는 문장을 영어로 "I always eat breakfast in the morning"처럼 말할 때, 부사 "always"가 동사 앞에 와야 한다. 한국어에서는 부사와 동사의 순서가 자주 바뀌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영어에서는 부사의 위치가 중요하다.
  • 전치사 오류: "I go school"은 영어에서 전치사 'to'가 빠져있는 오류다. 영어에서는 "I go to school"이 정확한 문장이 된다. 한국어에서는 전치사 없이 "학교에 간다"라고 표현할 수 있지만, 영어에서는 반드시 전치사가 필요하다.

4. 어휘 선택의 부정확성

어휘 선택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한국어와 영어 간의 의미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가 있어도 사용되는 문맥이나 의미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 "Like"와 "Love" 혼동: "I like you"와 "I love you"는 비슷한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like'는 단순히 좋아한다는 의미이고, 'love'는 깊은 감정의 표현이다. 예를 들어, "I love coffee"라고 하면 매우 강한 감정이 담긴 표현이지만, "I like coffee"는 단순히 커피를 좋아한다는 의미가 된다.
  • "Big"과 "Large"의 차이: "Big"과 "Large"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large'는 주로 크기나 공간을 말할 때 사용되고, 'big'은 보다 감정적이거나 추상적인 개념에 더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big problem"은 "large problem"보다 자연스럽고, "large room"은 "big room"보다 더 자연스럽다.
  • "Easy"와 "Simple"의 구별: "Easy"는 일반적으로 노력 없이 쉽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Simple"은 복잡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This problem is easy"는 맞지만, "This problem is simple"도 올바를 수 있지만 그 뉘앙스는 다르다. "This task is simple"이라고 할 때는 '단순하다'는 느낌이 강하다.

5. 문화적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 오류

언어는 단순히 단어와 문법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문화적 차이가 의사소통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지 못한 채 영어를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직설적인 표현 사용: 한국에서는 간접적이고 예의 바른 표현을 선호하지만, 영어권에서는 직설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Could you possibly help me?"는 한국에서는 더 예의 있는 표현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영어권에서는 "Can you help me?"가 더 자연스러울 수 있다.
  • 유머와 비유적 표현: 영어권에서는 비유적 표현이나 유머를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It's raining cats and dogs"라는 표현은 '비가 억수같이 내린다'는 뜻이다. 한국에서 '비가 고양이와 개처럼 내린다'는 문장은 어색하게 들릴 수 있지만, 영어권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영어권 문화는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 대화에서 '나'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한국에서는 집단주의가 강해 '우리는'이나 '우리'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영어에서 "I think"는 자주 사용되지만, 한국에서는 '저는 생각합니다'라는 표현을 지나치게 겸손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6. 결론: 실용적인 영어 학습을 위한 전략

키워드: 실용적인 영어 학습, 영어 학습 전략

한국에서 영어를 학습할 때 발생하는 오류들은 발음, 문법, 어휘 선택, 문화적 차이에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책에서 배우는 것을 넘어서, 실제 영어 사용 환경을 체험하고, 문법적 정확성과 문화적 이해를 동시에 길러 나가야 한다. 꾸준한 발음 연습, 문법 점검, 어휘 선택의 정확성, 그리고 영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이 중요하다.